배열이란
-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
1차원 배열의 선언에 필요한 것 세 가지: 배열 이름, 자료형, 길이 정보
int oneDimArr[4];
위의 문장을 이루는 요소 셋
- int: 배열을 이루는 요소(변수)의 자료형
- oneDimArr: 배열의 이름
- [4]: 배열의 길이
배열의 길이 정보는 상수로 지정한다.
선언된 1차원 배열의 접근
#include <stdio.h>
int main(void)
{
int arr[5]; // 길이가 5인 배열을 선언
int sum=0, i;
arr[0]=10, arr[1]=20, arr[2]=30, arr[3]=40, arr[4]=50;
// 각 배열 요소의 값을 저장
for(i=0 ; i<5 ; i++)
sum += arr[i];
printf("배열 요소에 저장된 값의 합: %d\n", sum);
return 0;
}
/*
결과
배열 요소에 저장된 값의 합: 150
*/
배열의 모든 요소는 반복문을 이용해서 순차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
배열!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하기
int arr1[5]={1, 2, 3, 4, 5}; // 순차적으로 1, 2, 3, 4, 5로 초기화
int arr2[ ]={1, 2, 3, 4, 5, 6, 7}; // 컴파일러에 의해서 자동으로 7이 삽입
int arr3[5]={1, 2}; // 3, 4, 5번째 배열 요소는 0으로 채워짐
배열을 이용한 문자열 변수의 표현
char형 배열의 문자열 저장과 null 문자
char str[14]="Good morning!"; // Good morning!\0
- 위 코드를 보면 공백을 합해서 총 13자로 되어있지만, 문자열의 끝에 \0이라는 특수문자(escape sequence)가 자동으로 삽입이 되어
실제 문자열의 길이는 14로 된다. - \0: null 문자
C 언어에서 표현하는 모든 문자열의 끝에는 null 문자가 자동으로 삽입
문자열의 끝에 null 문자가 필요한 이유
- 문자열의 끝을 표시하기 위해
#include <stdio.h>
int main(void)
{
char str[50] = "I like C programming";
printf("string: %s\n", str);
str[8] = '\0'; // 9번째 요소에 Null 문자 저장
printf("string: %s\n", str);
str[6] = '\0'; // 7번째 요소에 Null 문자 저장
printf("string; %s\n", str);
str[1] = '\0'; // 2번째 요소에 Null 문자 저장
printf("string: %s\n", str);
return 0;
// str[8] = '\0'과 str[8] = 0 은 동일한 문장이다.
}
// 결과
string: I like C programming
string: I like C
string; I like
string: I
'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포인터 변수 (0) | 2025.03.12 |
---|---|
변수의 존재기간과 접근범위 (0) | 2025.03.12 |
조건에 따른 흐름의 분기 (0) | 2025.03.12 |
반복 실행을 명령하는 반복문 (0) | 2025.03.12 |
printf, scanf (3) | 2025.03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