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t main()
{
// 자료형 (크기 단위, byte - 메모리 단위) Data Type
// 정수형: char(1), short(2), int(4), long(4), long long(8)
// 실수형: float(4), double(8)
int i = 0;
// i 라는 정수형을 선언하고 i의 크기는 4 byte이다.
unsigned char c = 0;
// unsigned = 양수의 정수만 표현
c = 0;
c = 256; // 오류
// 오류가 난 이유: 1 byte는 8 bit로 총 256가지의 경우의 수를 가짐,
// unsigned를 사용해 양수의 정수만을 가지도록 정한 char는 1 byte의 크기를 가지므로 0 ~ 255의 수를 가질 수 있는데,
// 256을 대입했으므로 오류가 발생
return 0;
}
// 1 byte = 8 bit
// bit =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단위, 0과 1로만 이루어 짐 True or False
int main()
{
// 자료형 (크기 단위, byte - 메모리 단위) Data Type
// 정수형: char(1), short(2), int(4), long(4), long long(8)
// 실수형: float(4), double(8)
int i = 0;
// i 라는 정수형을 선언하고 i의 크기는 4 byte이다.
unsigned char c = 0;
// unsigned = 양수의 정수만 표현
// 256 가지 -> 0 ~ 255
c = 0;
c = 255;
char c1 = 0;
// 양수와 음수를 모두 표현(signed)
// 256 가지 -> -128 ~ 0 ~ 127
c1 = -1;
// 음의 정수 찾기(2의 보수법)
// 대응되는 양수의 부호를 반전 후, 1을 더한다.
// ex) 0 0 0 0 0 0 1 0 = 2 / -2를 찾는다면
// 1 1 1 1 1 1 1 0 = -2
return 0;
}
// 1 byte = 8 bit
// bit =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단위, 0과 1로만 이루어 짐 True or False
'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변수의 존재기간과 접근범위 (0) | 2025.03.12 |
---|---|
조건에 따른 흐름의 분기 (0) | 2025.03.12 |
반복 실행을 명령하는 반복문 (0) | 2025.03.12 |
printf, scanf (3) | 2025.03.12 |
C 언어 자료형 (0) | 2025.03.12 |